어린이 교정 ‘지금 해야 하나요?’ — 1차 교정(성장기 교정) 현실 가이드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화이트드림치과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5-11-11 15:26본문
어린이 교정 ‘지금 해야 하나요?’ — 1차 교정(성장기 교정) 현실 가이드
1차 교정은 영구치가 다 나기 전 성장기를 활용해 턱·공간·습관을 바로잡는 단계입니다.
목표는 “일찍 철사로 다 맞추기”가 아니라 문제의 씨앗 제거와 2차 교정 부담↓입니다.
| 신호 | 의미 | 권장 |
|---|---|---|
| 앞니가 반대로 물림(반대교합) | 하악 과성장/상악 부족 | 즉시 평가—성장방향 교정 윈도우 |
| 입 다물면 앞니 사이 벌어짐(개방교합) | 구강습관(손가락·혀) 연관 | 습관교정+혀기능 훈련(MFT) |
| 공간 부족으로 송곳니 매복/돌출 예고 | 악궁 협소·성장 불균형 | 악궁확장·공간관리(보존장치) |
| 턱이 한쪽으로 틀어짐/비대칭 습관 | 편측저작·구호흡 | 양측저작·코호흡 훈련 + 교정장치 |
| 레벨 | 핵심 목표 | 기대 효과 |
|---|---|---|
| ① 턱성장 | 상·하악 성장을 바른 방향으로 유도 | 반대교합·돌출 완화, 수술 가능성↓ |
| ② 공간·악궁 | 악궁확장·유치관리로 영구치 자리 확보 | 매복·혼잡 예방, 발치 확률↓ |
| ③ 기능·습관 | 구호흡→코호흡, 혀·삼킴 패턴 교정 | 재발↓, 얼굴성장 패턴 개선 |
| 장치 | 역할 | 착용 포인트 |
|---|---|---|
| 확장장치(RPE 등) | 상악 폭 확장 → 공간·교차교합 개선 | 보호자 스크류 전개 교육, 구강위생 철저 |
| 기능장치(헤드기어, 트윈블록 등) | 턱 위치·성장 방향 유도 | 일일 착용시간이 성패 좌우 |
| 공간보존장치 | 조기 유치 상실 시 공간 유지 | 비틀림·탈락 즉시 점검 |
| 부분 교정(부분 브라켓/투명장치) | 앞니 반대·회전 등 국소 개선 | 기간 짧지만 유지장치 필수 |
| 나이대 | 주요 포인트 | 권장 |
|---|---|---|
| 6–8세 | 첫 큰어금니·앞니 맹출, 습관 평가 | 개방/반대교합 즉시介入, 공간보존 |
| 9–11세 | 상악 확장 골성 창이 닫히기 전 | 확장장치·기능장치 적기 |
| 12세+ | 영구치 교환 완료 근접 | 2차 교정 판단, 1차 효과 유지 |
• 코호흡·입술닫기: 낮 동안 3N(비접촉·중립·코호흡) 습관화
• 혀운동(MFT): 혀끝을 앞니 뒤점에 “딱” 고정, 삼킬 때 앞·옆으로 밀지 않기
• 양측저작: 단단한 음식은 좌·우 동일 횟수로 씹기
• 자세: 고개숙임 장시간 금지—머리 전방자세는 하악 위치에 영향
• 혀운동(MFT): 혀끝을 앞니 뒤점에 “딱” 고정, 삼킬 때 앞·옆으로 밀지 않기
• 양측저작: 단단한 음식은 좌·우 동일 횟수로 씹기
• 자세: 고개숙임 장시간 금지—머리 전방자세는 하악 위치에 영향
월 0 : 파노라마·측면두부X-ray·교합·호흡/습관 평가 → 계획 수립
월 1–3 : 확장/기능장치 집중기(주 1회 점검→월 1회로 전환), MFT 주 3–5회 홈트
월 4–6 : 부분 정렬·공간 유지, 착용시간 유지 → 2차 교정 필요성 재평가
월 1–3 : 확장/기능장치 집중기(주 1회 점검→월 1회로 전환), MFT 주 3–5회 홈트
월 4–6 : 부분 정렬·공간 유지, 착용시간 유지 → 2차 교정 필요성 재평가
| 오해 | 현실 | 포인트 |
|---|---|---|
| 일찍 시작하면 2차 교정 필요 없다 | 필요할 수 있음 | 다만 기간·발치·난이도 줄일 수 있음 |
| 장치만 끼면 해결된다 | 착용시간·습관교정이 성패 | 부모 코칭·체크리스트 필수 |
| 확장하면 얼굴이 넓어진다 | 치열궁 중심의 치성 변화 | 적응기 불편↑, 위생관리↑ |
• 점검: 초기 2–4주 간격 → 안정 후 4–8주 간격
• 위생: 장치 주변 치실 스레더/치간칫솔 필수, 가글은 저자극 위주(장기 CHX X)
• 위생: 장치 주변 치실 스레더/치간칫솔 필수, 가글은 저자극 위주(장기 CHX X)
• 장치 찢김·와이어 파절·점막 궤양 지속 · 한쪽만 아프게 씹힘
• 악취/피가 계속 비침 · 나사·스크류 풀림 느낌
• 악취/피가 계속 비침 · 나사·스크류 풀림 느낌
Q. 언제가 “너무 이른” 시기인가요?
→ 문제 신호가 없다면 초등 저학년은 관찰만으로 충분할 수 있습니다. 반대·개방·공간 문제는 예외로 조기介入 권장.
Q. 발치가 꼭 필요한가요?
→ 1차에서 공간 확보가 되면 발치 가능성을 낮출 수 있습니다. 최종 판단은 2차 교정 시점에서 결정합니다.
Q. 운동/체육은 가능해요?
→ 가능. 마우스가드 착용을 권장합니다(특히 격렬한 종목).
→ 문제 신호가 없다면 초등 저학년은 관찰만으로 충분할 수 있습니다. 반대·개방·공간 문제는 예외로 조기介入 권장.
Q. 발치가 꼭 필요한가요?
→ 1차에서 공간 확보가 되면 발치 가능성을 낮출 수 있습니다. 최종 판단은 2차 교정 시점에서 결정합니다.
Q. 운동/체육은 가능해요?
→ 가능. 마우스가드 착용을 권장합니다(특히 격렬한 종목).
1차 교정은 성장·공간·습관을 다루는 “방향 교정”입니다.
지금 신호가 보인다면 적기에介入하고, 없다면 정기 관찰로 타이밍을 잡아 주세요.
다음 주제 예고
다음 칼럼에서는 스포츠 마우스가드(맞춤형 vs 기성) 선택법 & 청소년 치아 보호를 안내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